2025/04/08 3

[건축시공학] 콘크리트의 성질

콘크리트의 성질 1. 경화 전 콘크리트의 성질 – 워커빌리티(Workability)와 컨시스턴시(Consistency)콘크리트가 굳기 전, 즉 프레시 콘크리트(fresh concrete)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은 바로 워커빌리티이다. 워커빌리티는 콘크리트의 작업성을 의미하며, 운반, 타설, 다짐, 마감 등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통합적으로 나타낸다. 워커빌리티가 좋을수록 시공성이 우수하며, 작업시간 단축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워커빌리티는 슬럼프(Slump) 시험으로 간접적으로 측정되며, 일반적으로 슬럼프 값이 클수록 워커빌리티가 높다고 본다. 그러나 슬럼프 값이 동일해도 골재의 형태, 입도, 점착성 등에 따라 실제 작업성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워커빌리티는 시멘트의 양,..

건축시공학 2025.04.08

[건축시공학] 콘크리트 배합설계란?

콘크리트 배합설계란? 1.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개념과 목적배합설계(Mix Design)는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인 시멘트, 물, 골재, 혼화재(제) 등의 비율을 구조물의 용도, 환경조건, 시공방법에 따라 최적으로 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 설계는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경제성 등을 만족하는 동시에 현장의 타설 및 양생 조건을 고려해 설계되어야 한다.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단계로, 단순히 재료를 섞는 것이 아닌 공학적 판단과 경험,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배합설계는 먼저 콘크리트가 발휘해야 할 목표 강도(설계기준압축강도)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시멘트비(W/C ratio), 단위 수량, 골재의 입도, 슬럼프 값 등을 정해나가는 과정이다...

건축시공학 2025.04.08

[건축시공학] 혼화재(제)의 종류 및 특성

혼화재(제)의 종류 및 특성 1. 혼화재(제)의 개념과 필요성 콘크리트는 기본적으로 시멘트, 물, 골재로 이루어지며, 이 기본 재료로만 구성된 콘크리트는 특정 성능에서 한계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혼화재와 혼화제를 활용하게 된다. 혼화재는 일반적으로 시멘트에 혼입되어 시멘트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미세 분말이며, 혼화제는 화학약품 형태로서 콘크리트의 물리·화학적 성능을 조절한다. 이러한 혼화재(제)는 콘크리트의 작업성, 수밀성, 내구성, 수축 특성, 강도 발현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설 공법의 다양화와 고성능 콘크리트 기술의 발전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평가된다. 특히 장거리 운반, 혹한기 및 혹서기 타설, 고강도 구조물 시공 등..

건축시공학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