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3

[건축시공학] 말뚝기초란?

말뚝기초란?1. 말뚝기초의 개념과 필요성[지지층에 도달하지 못하는 지반에서의 기초 해결책] 말뚝기초는 지표면 아래의 연약한 토층을 관통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층까지 인공 구조물을 연결해 하중을 전달하는 기초 방식이다. 지반이 연약하거나 지하수가 많아 직접기초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특히 고층 건축물, 교량, 항만 구조물 등 큰 하중을 받는 구조물에서는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말뚝을 사용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말뚝기초는 구조물 하중의 전달 방식, 시공 방법, 말뚝 재료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구조물 하중은 말뚝의 선단 저항력(end bearing) 또는 주면 마찰력(skin friction)에 의해 지지층으로 전달되며..

건축시공학 2025.04.05

[건축시공학] 지반 개량 공법이란?

지반 개량 공법이란?1. 지반 개량 공법의 개요[지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사전 조치] 지반 개량 공법은 연약 지반의 지지력 향상, 침하 방지, 지하수 처리 등을 통해 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다. 지반의 상태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직결되며, 지반이 연약하거나 지하수가 많을 경우 별도의 지반 개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지반 개량은 단순히 지하수를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넘어, 지반 자체의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지반 개량 공법은 일반적으로 배수공법(Dewatering Method), 차수공법(Cutoff Method), 그리고 기타 물리적·화학적 개량 기법으로 구분된다. 이 중 배수공법과 차수공법은 지하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시공성을 개선하는 데 초점..

건축시공학 2025.04.05

[건축시공학] 지하연속벽 및 탑다운 흙막이공법

지하연속법 및 탑다운 공법이란? 1. 지하연속벽 공법 개요 [연속적인 구조벽체를 통한 흙막이 시공 기술] 지하연속벽 공법(Continuous Underground Wall Method)은 깊은 굴착을 동반하는 공사에서 흙막이벽과 영구 구조벽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공법으로, 연속적인 구조체를 지중에 형성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도심지 고심도 굴착이나 지하철, 대규모 건축물의 기초부 공사 등에 적용된다. 이 공법은 굴착 이전에 구조벽을 먼저 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며, 구조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탁월한 장점을 가진다. 시공 방식에는 주로 슬러리월 공법과 ICOS 공법이 있다. 지하연속벽은 토류벽 역할 외에도 기초구조물 또는 지하외벽으로 활용될 수 있어 이중 기능을 ..

건축시공학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