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학

[건축시공학] 석(돌)공사 완벽 정리 - 석재 종류부터 설치공법, 표면마무리까지

goldkiwe 2025. 4. 18. 22:43

석재공사

 

석(돌)공사 완벽 정리

: 석재 종류부터 설치공법, 표면마무리까지

 

석공사는 건축물의 품격과 내구성을 결정짓는 핵심 공정입니다. 화강암, 대리석 등 석재의 종류부터 습식·건식공법, 표면마무리 방식까지 시공의 전 과정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시공 전 준비사항과 유지보수 방법까지, 석공사 시공의 모든 것을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1. 석재 종류별 특징 — 자연석과 인공석의 이해

 

석공사의 핵심은 석재 선택입니다. 석재는 건축물의 외관, 내구성, 유지관리 편의성, 경제성을 좌우하는 재료로, 주로 자연석과 인공석으로 구분됩니다.

 

자연석은 채석장에서 직접 채굴된 석재로 화강암, 대리석, 사암, 슬레이트 등이 있습니다. 화강암은 경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해 외장재와 바닥재로 널리 쓰이며, 대리석은 고급스러운 무늬와 광택으로 실내 마감재에 적합합니다. 사암은 흡수율이 높고 부드러워 정원석이나 외벽용으로 사용됩니다. 슬레이트는 층상구조의 특성상 지붕재로 활용되며, 미끄럼 방지 성능과 내후성이 특징입니다.

 

인공석은 자연석을 대체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생산된 석재로, 균일한 품질과 가공 용이성, 경량성, 저렴한 가격이 장점입니다. 대표적인 인공석으로는 콘크리트 석재, 인조대리석, 세라믹 스톤, 테라조 등이 있으며, 인공 석재는 색상과 패턴이 일정하고 생산 비용이 안정적이어서 대량 생산,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최근에는 내구성과 심미성을 향상시킨 고급 인공석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석재를 선택할 때는 시공 환경, 건축물의 용도, 기후, 유지보수 비용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외장재는 내후성, 내오염성, 내구성, 균열 및 변색 여부를 면밀히 검토한 후 채택해야 합니다.

 

2. 석공사 설치공법 —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의 특징과 차이점

 

석재 설치공법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미관, 유지관리 편의성에 직결됩니다. 석재 설치는 크게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습식공법은 몰탈, 시멘트,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해 석재를 직접 구조체에 부착하는 방식입니다. 구조체와 석재가 일체화되어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비가 비교적 경제적입니다. 다만 접착재가 건조되며 수축할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어 석재 탈락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온 변화나 수분 유입에도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습식공법 시공 전 접착면 상태와 몰탈 혼합 비율, 석재 뒷면 세척 상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건식공법은 철물 앵커, 브라켓, 클램프 등 금속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석재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석재와 구조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 통풍과 배수성을 확보하고, 유지보수 및 석재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습니다. 고층 건물 외벽, 고급 건축물 외장재 시공에 주로 사용되며, 구조적 안전성을 위해 앵커 설계와 설치 정확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건식공법은 초기 설치비용이 다소 높고 고도의 정밀 시공을 요구하지만, 시공 후 유지보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해 장기적으로 효율적입니다.

 

3. 석공사 시공 전 준비사항 — 석재 품질 검사와 치수 검토

 

석공사의 품질은 석재 반입 전 검사와 현장 준비단계에서 대부분 결정됩니다. 석재는 KS규격을 기준으로 물리적 성능(압축강도, 휨강도, 흡수율), 외관(색상 균일성, 표면 상태, 균열, 패임 유무)을 꼼꼼히 검사해야 하며, 시공 전 모형 샘플을 통해 색상과 텍스처를 최종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도면상의 석재 치수와 실제 가공된 석재의 치수를 비교해 시공 오차를 최소화해야 하며, 설치 위치별 석재를 사전 분류해 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시공 중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반입된 석재는 손상 방지용 충격흡수재를 이용해 보관하고, 습기와 오염을 방지하는 커버링 처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설치 전 석재 뒷면의 먼지, 기름, 오염물질을 깨끗이 제거하여 접착 불량과 시공 결함을 예방하고, 구조체의 표면 평활도도 사전에 점검해야 합니다.

 

4. 석공사 유지관리 — 변색, 탈락, 균열 방지 및 보수

 

석재는 자연재료 특성상 장시간 노출될 경우 기후, 오염, 자외선, 결로, 미생물 등에 의해 변색, 균열, 탈락 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외장재로 사용된 석재는 기온변화에 따른 팽창, 수축을 반복하게 되며, 접합부 실란트, 앵커, 브라켓 등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 징후 발견 시 즉각 보수해야 건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석재 표면 오염은 주기적인 고압세척, 화학세정제, 특수 세척기법을 통해 관리하며,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균열 보수용 실란트 또는 에폭시를 주입해 보수합니다. 탈락 가능성이 높은 부위는 석재 고정철물의 재점검과 보강이 필요하며, 석재의 파손 상태가 심각한 경우 전체 교체를 원칙으로 합니다. 석재 표면은 광택 복원 작업 및 표면 방수처리, 발수제 도포 등을 통해 외관 품질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건물의 가치를 유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석공사 유지보수 계획은 설계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합니다.

 

5. 석재 표면마무리법 — 석재의 심미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가공기법

 

석재의 표면마감은 건축물의 미적 완성도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됩니다. 표면마감 방식은 건축물의 외관 분위기, 색상 깊이, 빛 반사율, 질감, 미끄럼 저항성, 오염 방지성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연마(POLISH) 마감은 석재 표면을 광택이 날 때까지 연마해 고급스러운 외관을 연출하며, 대리석과 화강암 내부 인테리어, 고급 외장재에 주로 사용됩니다. 화강암이나 대리석의 무늬와 색상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버너(BUSH HAMMERED) 마감은 불꽃을 이용해 석재 표면을 고온으로 가열한 뒤 급랭시켜 거친 텍스처를 만들어 미끄럼 방지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외부 계단, 보행로, 경사로 바닥재 등에 적합합니다.

 

잔다드(HONED) 마감은 연마마감 전 단계의 무광택 표면으로,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광택 없이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합니다. 실내외 벽면, 욕실, 고급 바닥재에 널리 활용됩니다.

 

노출(CONBUSHED) 마감은 석재의 자연 표면을 유지한 채 파쇄한 느낌을 주어 자연미를 강조하며, 외벽 장식이나 조경용 석재에 사용됩니다. 투박하면서도 견고한 외관을 원하는 경우 적합합니다.

 

플레임드(FLAMED) 마감은 석재 표면을 고온의 화염으로 가열해 입자 조직을 팽창, 파열시켜 거친 질감을 만드는 방식으로, 주로 화강암 외장재, 보행로 포장, 외부 계단에 적용됩니다.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내구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이 외에도 샌드블라스트(SANDBLAST) 마감, 브러쉬드 마감, 앤티크 마감 등 다양한 가공기법이 있으며, 프로젝트의 목적에 맞춰 적절한 표면마감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표면마감은 석재의 품질, 내구성, 시공 위치, 기후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